본문 바로가기
직장담화

직장담화 # 11. 스코어

by 88라이더 2024. 11. 20.

 

 

당신은 스코어에 진심입니까?

 

일을 하다 보면 가장 예민한 부분이 스코어(타수)이다.

캐디는 네 사람의 마커나 다름없다. 

그들의 정확한 스코어를 알고 있어야 한다. 

내 자랑 같지만 나는 스코어를 정확하게 보는 편이다.

 

골프에는 '캐디 스코어'라는 말이 있다. 

재미있게 놀러 온 고객들이 스트레스받지 않고

기분 좋게 골프를 즐기다 가시라고 점수를 알아서 줄여주는 것이다.

그런 고객들은 미리 말한다. 

"알아서 적어 주세요~"라고 멋쩍어하면서 말이다.

 

그런데 내기를 하거나, 본인의 찐 스코어를 알고 싶어 하는 사람은

정확한 스코어를 적어 주길 바란다. 

내가 친 타수를 내가 정확히 알고 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. 

고객들 중에는 벌타를 제대로 계산하지 않거나

왔다 갔다 퍼덕이다 보면 금세 자신이 몇 개를 쳤는지 잊어버리곤 한다. 

 

내가 스코어를 기억하는 방법은

클럽을 바꿔 줄 때 어디에서 뭘 쳤는지를 기억한다. 

대부분 장면기억법을 쓰기 때문에

4명의 18홀 스코어 복기가 가능하다.

아마 대부분의 캐디가 그럴 것이다.

지금은 태블릿으로 스코어를 쓰지만 예전에는 종이카드에 스코어를 썼다.

바람에 날아가거나 이물질이 묻어 새로 써야 할 때도 종종 있다 보니

지나온 홀을 복기하는 건 습관처럼 배어있다. 

또한 기억을 하고 있어야 고객이 클럽을 놓고 왔을 때 빠르게 찾을 수 있다.

고객은 자기가 쓴 클럽도 어디에서 썼는지 기억하지 못한다.

그렇게 20년을 집중하다 보면 자연스레 몸에 장착되는 캐디의 직업병이다.

 

아무튼 기억하기 싫어도 기억나는 게 스코어라

정확하게 적을 수밖에 없다. 

보통 고객들은 파, 보기에는 예민하지 않다.

그런데 트리플보기나 더블파로 넘어가면 굉장히 예민해진다. 

스코어를 입력하는 순간,

"내가 왜 트리플이야!!" 하고 버럭 할 때가 많다. 

그럼 일일이 하나하나 짚어 줘야 한다. 

그러고 나면 탄성과 함께 "아, 맞네"

나는 유달리 그런 경험이 많은데 그렇게 3홀 정도 지나면

더 이상 스코어로 나에게 토를 다는 고객이 없었다. 

 

스코어는 정확하게 적는 게 제일 쉽다. 

어르신들을 나가면 "언니야~ 더블이상 적지 마라~" 

이런 식으로 말하는데 

그럼 진짜 더블 보기를 한 사람과 트리플 보기를 한 사람이 같은 스코어가 되어

누구는 줄여주고, 누구는 그대로 써야 하니 여간 불편한 게 아니다.

나중에 네 사람 스코어가 어느 정도 비슷하게 나오도록 하는 것도 캐디 능력이다.

 

또 어떤 고객은 정확하게 써달라고 하면서

진짜 정확하게 쓰면 기분 나빠하기도 한다. 

 

선입견을 가지면 안 되지만

특히나 여성 골퍼들은 스코어에 더 예민하다. 

본인들끼리 직접적으로 말은 못 하면서

뒤에 몰래 와서 나에게 얘기한다.

"저 사람 더블인데 왜 보기 적었어?"

자기보다 못 치는 사람이 스코어가 잘 나오면 그것도 불만인 것이다.

그래서 하나하나 짚어 말하면 표정관리를 못한다.

어떤 여자 고객은 트리플을 해놓고도 더블이라고 우기길래

하나하나 짚어 줬더니, 뭘 그렇게 일일이 따지냐며 기분 나빠 못 치겠다고

끝날 때까지 투덜거리기도 했었다.

어느 장단에 맞추란 말인가?

 

나는 내 스코어에 진심이다. 

나는 라운딩을 가면 멀리건도 안치고, 

특별히 위험한 경우가 아니라면 볼 터치도 하지 않는다.

나는 나의 정확한 스코어를 알고 싶고, 좋은 스코어를 내고 싶은 사람 중에 하나다.

만약 멀리건을 쓰고, 좋은 자리로 라이 개선을 하면서 볼을 치면

찜찜하고 내 타수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 

되도록 룰에 맞게 치려고 노력하는 편이다. 

내가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다 보니

고객들 중에 '라이프 베스트'라며 좋아하는 사람들을 보면

나도 모르게 헛웃음을 내곤 했다.

나는 알지 않는가? 

그 고객이 어디서 멀리건을 몇 개 썼고, 어디서 볼 터치를 했는지 말이다. 

아, 물론 찐으로 베스트 스코어를 낸 고객도 있다. 

그럴 때는 나도 함께 기뻐하고, 축하도 아끼지 않는다. 

 

골프장에 내장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

지인들과 놀러 온 사람들이고, 어쩌다 한번 치는 주말 골퍼나

이제 막 배우기 시작한 비기너들이다.

그리고 대부분 안전을 우선하기 때문에 드롭하는 경우도 많다.

되도록 정확하게 타수를 세지만 그것이 100% 정확하다고도 할 수 없다.

그러니 즐겁게 놀러 와서 스코어에 연연하지 않았으면 좋겠다.

 

마치, 국룰인 것처럼 

첫 홀과 마지막 홀은 올 파,

전, 후반 멀리건 하나씩,

OB, 해저드는 볼 찾으면 무벌 드롭

이런 식의 막무가내 룰을 정하고

캐디에게 양해도 구하지 않는다.

진행도 안되는데 멀리건은 웬 말인가?

찾으면 무벌타라는 소리에 보이지 않는데도 

끝까지 찾으려고 시간을 소요하다 보면 화가 머리끝까지 난다. 

 

제발 말도 안되는 소리 하면서 칠 거면

화라도 안냈으면 좋겠다.

화풀이는 다 캐디한테 하면서

안하무인인 고객들...

이제는 볼일 없으니 속이 다 시원하지만

아직까지도 힘들게 이런 고객들을 상대하고 있을 캐디들을

생각하니 마음이 짠하다.

 

자신의 리얼 스코어를 알고 싶다면

노 멀리건, 노 터치를 지키고

캐디 안내에 따른 로컬룰 적용과 골프의 정확한 룰을 적용하길 바란다.

멀리건을 치는 순간 리얼 스코어는 없다.

그러니 공이 잘 맞는다 안 맞는다는 이유로 

동반자들을 괴롭히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다. 

 

세월이 흘러도 같은 패턴의 고객들은 끊임없이 나왔다. 

위와 같은 말도 안되는 룰은 대물림되는 건지,

어디서 듣고 오는건지 20년째 이어오고 있다.

참 신기한 일이긴 하다.

 

그래도 조금은 좋은 골프 문화도 이어졌으면 좋겠다. 

내가 이 글을 쓰는 이유이기도 하다. 

고객들은 골프장 리뷰나, SNS에 캐디들을 난도질한다. 

물론 진짜 진상 캐디도 분명 있다. 

그런데 캐디들은 진상 고객을 어디에서도 말하지 않는다. 

그냥 퇴근후에 캐디들끼리 술안주로 삼을 뿐이다.

누가 누가 더 진상인지 배틀을 떠도 모자라지만.

정말 케이스는 다양하게도 계속 업그레이드되기 때문이다. 

 

전국의 모든 캐디들이 늘 즐거운 라운딩을 하길 바라며.

'직장담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직장담화 # 13. 타구사고  (2) 2024.11.24
직장담화 # 12. 남자캐디  (2) 2024.11.23
직장담화 #10. 위험한 해저드 일화  (2) 2024.11.19
직장담화 #9. 거리측정기  (3) 2024.11.18
직장담화 #8. 홀인원  (1) 2024.11.16